2023
4분기 (Q4)
3분기 (Q3)
2분기 (Q2)
1분기 (Q1)
2022
2021
2021년 5월
2021년 5월
Testnet2는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커뮤니티에서 Mainnet으로 이름을 바꾸자는 투표가 실시되었습니다. NewTON 팀은 TON 네트워크의 지원 및 개발에 집중하는 비영리 커뮤니티로서 TON Foundation으로 리브랜딩되었습니다.
2020-2021
소규모 오픈소스 개발자 팀인 NewTON이 TON의 코드베이스, 아키텍처 및 문서를 깊이 연구합니다. TON의 원본 문서에 상세히 설명된 설계에 따라 TON의 적극적인 개발을 다시 시작합니다.
2020년 5월
텔레그램 팀은 TON 개발과 testnet2 지원을 중단하고, 1,850만 달러의 합의금을 지불하고, 투자자들에게 자금을 반환하기로 합의 했습니다.
2020년 3월
미국과의 소모전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서도 규제 기관이 텔레그램이 결국 서비스를 종료하기로 결정했습니다.
2019년 10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텔레그램을 미등록 증권 발행 혐의로 고소했습니다. 텔레그램은 SEC의 주장이 근거가 없다고 주장했지만, 법적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TON 출시를 연기하기로 합의하였습니다.
2019년
텔레그램 팀이 TON 블록체인의 설계를 자세히 설명하는 일련의 문서를 공개했습니다. 텔레그램은 2019년 봄에 첫 번째 TON 테스트넷을, 2019년 11월에 두 번째 테스트넷을 생성했습니다. 텔레그램 팀은 2019년 봄에 첫 번째 TON 테스트넷을 출시하고, 이후 코드가 오픈소스로 공개되었으며, 2019년 11월 15일에 테스트넷2가 가동되었습니다.
2018
텔레그램은 TON 토큰(당시 Grams라고 불렸음)의 프라이빗 세일을 통해 17억 달러의 자금을 모금하며 역대 최대 규모의 암호화폐 공개 판매를 진행했습니다.
2018
파벨(Pavel)과 니콜라이 두로프(Nikolai Durov) 형제가 이끄는 텔레그램 메신저 팀은 텔레그램 메신저를 위한 블록체인 솔루션을 모색하기 시작했습니다. 현재 텔레그램의 수억명 규모의 사용자 기반을 지원할 수 있는 레이어 1 블록체인이 없다고 판단한 이들은 자체 레이어 1 체인을 설계하기로 결정하고, 이를 [Telegram Open Network]라고 불렀습니다.